# [RESTful API] Put vs Patch

# 멱등성 (idempotent)


f(x) = f(f(x)) 과 같이, 여러번 수행해도 값이 변하지 않는 성질

사용자가 서버로 어떤 요청을 보냈는데, 그 요청이 타임아웃 되었다. 이때, 사용자는 요청이 전달 됐는지 아닌지 그 여부를 알 수 없다.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멱등성이 보장된다면 사용자는 요청을 다시 보내면 된다.

참고로 post 는 멱등성을 보장하지 않는다. 요청시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하기 때문이다.

# 차이점 3가지


# 1. 범위


  • put : 리소스의 모든 속성을 수정 (일부만 전달 시, 미전달 속성은 null 혹은 default값으로 처리됨)
  • patch : 리소스의 일부 속성을 수정

# 2. 서버에서의 처리방법 📎참고사이트 (opens new window)


서버가 요청된 URI로 얻은 자원을 update하기 위해 엔티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보여준다.

  • put : 엔티티를 서버에 저장된 원본데이터의 수정본으로 간주함. 클라이언트는 replace를 요청

  • patch : 엔티티는 새로운 버전을 만들기 위해서 서버에 저장된 원본데이터를 어떻게 부분적으로 수정해야 할지 설명하고 있는 instructions임.

  • 썩은 패티가 있는 햄버거를 받았을 때 참고링크 (opens new window)

    1. put : 새로운 햄버거를 만들어서 줍니다
    2. patch : 주방의 어떤 직원이 새로운 패티를 가져옵니다. 내가 가지고 있던 햄버거에서 빵, 야채등은 그대로 두고 썩은 패티만 바꿔갑니다.

    ⇒ 이 경우엔 put이 훨씬 쉽다. ⇒ 하지만 엄청 큰 기계에서 부품 하나가 고장났을 경우엔 부품 교체가 더 쉬운 방법일 것이다

# 3. Patch는 "항상" 멱등성을 보장하지 않는다


  • put : 항상 idempotent 하다.
  • patch : 기본적으로 non-idempotent하며 상황에 따라 idempotent 할 수 있다.

# + 지원 브라우저? (애매)


일단 put보다 patch가 더 늦게 나옴.

이분 말씀 (opens new window) 에 따르면 톰캣에서도 지원이 안된다고 하는데 찾아보니 따로 프로토콜 설정같은 걸 해주면 사용은 가능한 것 같음.

'기본적'으로 제공을 해주는 게 아닌 것 같다.(톰캣에서 쓰려면 (opens new window))

# +a


그리고 고민되면 그냥 POST 쓰면 됩니다. POST로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건 오히려 REST 스타일을 잘 지키는 겁니다. 원래 POST가 그런 애매한 메서드입니다. 정의자체도 "리소스를 생성하거나 기존 리소스에 추가하거나 혹은 의미에 맞게 잘 쓰세요" 같은 식으로 애매한 부분들이 있습니다. 이건 HTTP가 GET 과 POST 두개만 있어서 'GET은 읽기 나머지는 다 POST!' 이런 시절이 있었기 때문입니다.

참고사이트 (opens new window)

애매할땐 post..? (opens new window)

Last Updated: 8/11/2022, 5:17:02 AM